2024 서울시 청년 기후동행카드 K패스 비교추천

기후동행카드 K패스 비교

현재 서울시 청년이라면 누구나 기후동행카드로 55,000원에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요

그런데 올해 5월에 K패스가 출시예정으로 많은 분들이 둘의 차이점을 궁금해 하시더라구요!

오늘은 서울시 청년의 교통카드로 K패스, 기후동행카드 중 나에게 어떤 교통카드가 이득인지 알기쉽게 비교설명해보겠습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청년은 만 19 ~ 34세를 뜻합니다

기후동행카드 K패스 비교

📌 월 대중교통 금액이 78,570원보다 더 많이 나온다면?

기후동행카드 신청 바로가기

📌 월 대중교통 금액이 78,570원보다 더 적게 나온다면?

K패스 신청 바로가기

기후동행카드 핵심 총정리

 🖤 서울에서 지하철이나 버스로 출퇴근 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청년이라면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55,000원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평일 출퇴근시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데요
1,400원(지하철요금) ×  2번(왕복) × 20회 = 56,000원이잖아요. 딱 출퇴근만 하는 건 아니고 중간 중간 친구들도 만나고 필요한 약속이 생기면 지하철을 평균적으로 10번정도 더 타는 것 같더라구요. 20회(10번 왕복)를 추가로 이용하면 28,000원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지고 보니 많이 절약되더라구요!

 🖤 살짝 아쉬운 점은 청년권이 아직 개발중이라 현재는 62,000원에 구매하고 7월에 7,000원 할인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범위가 서울지역 대중교통으로 한정되어 서울안에서 이동하는 청년에게만 효율적이에요

K패스 핵심 총정리

🖤  올해 5월에 출시되는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마일리지가 다음달 현금으로 환급되는 교통카드입니다. 기후동행카드와는 다르게 전국에서 사용가능하며, 환급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청년저소득층
환급률20%30%53%
➡️  예를 들어, 한달에 8만원을 지출할 경우 일반 1만6000원, 청년 2만4000원, 저소득층은 4만2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어요

🖤 대중교통을 매달 매일 이용하는 것은 아니라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부담스럽고 내가 딱 사용한 만큼만 적립을 받고싶다 하는 청년들은 K패스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변에 직장동료를 보니 자차가 있고 가끔씩만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K패스에 대해 설명하니 월 15회면 월 8번정도 왕복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담없고 적립도 되니 좋다고 하셨어요!

➡️ k패스 자세히 알아보기

기후동행카드 K패스 청년요금 비교추천

총 대중교통 사용금액에 따른 비교

📢  현재 나의 대중교통 이용금액을 비교해보고 어떤 교통카드가 유리한 지 확인하세요!

기후동행현재 나의 대중교통비용(원)K패스
55,00022,50015,750
55,00025,00017,500
55,00030,00021,000
55,00040,00028,000
55,00050,00035,000
55,00060,00042,000
55,00070,00049,000
55,00075,00052,500
55,00078,57055,000
55,00080,00056,000
55,00084,00058,800

📌 결과적으로 서울에서 매월 78,570원보다 대중교통 비용을 더 많이 쓰는 사람에게는 기후동행카드가, 그보다 더 적게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K패스가 유리합니다

월 대중교통카드로 7만7500원을 지불할 경우 K패스 청년 요금 기준 78,570(원) ×  30% = 23,570원을 환급받아 최종 월 사용료는 55,000원이 되는데, 월 7만75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사용하게 되면 기후동행카드보다 K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저렴한 셈입니다

반면 월 7만7500원보다 많은 금액을 쓰는 사람에게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월 8만원을 대중교통 비용으로 쓰는 경우 K패스 사용자는 80,000(원) ×  30% = 24,000원을 환급받아 월 56,000원을 납부하는 데요,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때보다 1000원 더 내야 하는 거죠

탑승횟수에 따른 비교

탑승횟수(회당 1500원)일반기후동행K패스
1015,00055,00015,000
1522,50055,00015,750
2030,00055,00021,000
3045,00055,00031,500
4060,00055,00042,000
5075,00055,00052,500
5278,00055,00054,600
5379,50055,00055,650
5481,00055,00056,700
5582,50055,00057,750
6090,00055,00063,000

➡️  버스기본요금(1500원)으로 탑승횟수를 계산한 결과 52회 이하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K패스가 기후동행보다 유리하네요. 지하철요금(1400원)으로 같은방식으로 계산하면 56회 이하로 이용할 시 K패스가 유리합니다

서울시 청년이라면 기후동행카드 추천

📢  그래도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중 고민이라고 하시면 몇가지 기준들로 추천드릴게요

나는 서울시 안에서 평일 출퇴근을 지하철로 한다 ✅ 기후동행카드

나는 서울이외의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 K패스

나는 친구들과 약속이 자주 있는 편이다 ✅ 기후동행카드

나는 출퇴근 말고는 대중교통 이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 ✅ K패스

나는 따릉이를 자주 이용한다 ✅ 기후동행카드

나는 정기권은 부담스럽고 내가 사용한 만큼의 혜택을 돌려받고 싶다 ✅ K패스

나는 차가 없어서 어딜가든 대중교통 필수다 ✅ 기후동행카드

내가 매달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횟수는 적고 불규칙적이다 ✅ K패스

➡️ 보통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하는 서울시 직장러들이라면 기후동행카드가 월 55,000에 무제한이므로 더 효율적입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자신에게 더 이득이 되는 교통카드를 선택하시고 부자되세요!

📌 월 대중교통 금액이 78,570원보다 더 많이 나온다면?

기후동행카드 신청 바로가기

📌 월 대중교통 금액이 78,570원보다 더 적게 나온다면?

K패스 신청 바로가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