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로 매달 최대 5만원씩 돈버는 방법

알뜰교통카드 K패스

지하철을 타다보니 기후동행카드로 지하철 타시는 분들이 많이 보이더라구요?

저는 한달에 대중교통을 62,000원 미만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굳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지 않았어요

또한 서울노선에만 국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용에 제한이 있었는데요,

이 제한을 없애고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아무 조건 없이 월 15회 이용만 한다면 20~53% 환급해주는 K패스가 5월에 출시됩니다

오늘은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중 어떤 것을 쓰는 게 더 이득인지 함께 비교해보고

K패스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5분정도만 집중하면 매달 1만원 이상씩 대중교통비를 줄이실 수 있습니다

📌월 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회당 1,500원씩 60회 지출기준) 일반 18,000원, 청년 27,000원, 저소득층 48,000원 절감가능합니다. 60회의 반절인 30회 이용하셔도 일반 9,000원, 청년 13,500원, 저소득층 24,000원 절감이니 신청하시고 커피한잔 값 아끼시길 바래요!

전국에 있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자분들은 무조건 신청가능!

K패스 신청 바로가기

K패스 한장정리

K패스, 무슨 카드인가요?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다음달 이용금액의 일정부분을 현금으로 환급

✔️ 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마을버스, 신분당선, GTX 등에 적용

✔️ 전국 지자체에서 사용가능 (인구수 10만 이하인 지자체를 제외)

✔️ 다만 환급은 월 60회까지만 가능
회당 1,500원씩 60회 지출기준, 일반 18,000원, 청년 27,000원, 저소득층 48,000원 절감가능

✔️ 환급률 : 일반 20%, 청년(19~34세) 30%, 저소득층 53%
가령 한달에 8만원을 지출할 경우 일반 1만6000원, 청년 2만4000원, 저소득층은 4만2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어요

K패스 : 알뜰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

오는 5월 출시 예정인 K패스는 이동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환급해주는 ‘알뜰교통카드’를 확대·개편한 교통권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거리 총합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카드였어요. 하지만 출발버튼과 도착버튼을 눌러야만 적립이 되기때문에 바쁜 현대인에게는 너무 귀찮은 일이죠… 버튼을 누른다고 하여도 기본마일리지가 최대 환급율이 15%밖에 안되서 버튼값도 안되는 느낌?😭😭

➡️  K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출발,도착버튼을 없애고 환급율을 올려 개선하였습니다. 그냥 묻지고 따지지도 않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면 자동으로 마일리지가 현금으로 환급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전환방법

➡️  알뜰카드 회원은 전환 동의를 거쳐 사용중인 카드와 계정 그대로 K패스를 사용하실 수 있으니 어렵지 않아요

앱이나 홈페이지에 들어간 후 알뜰교통카드 번호를 입력하고 주민번호 입력(주소지 검증)후 이용약관 동의하면 K패스로 바로 전환되며, 5월 1일부터 이용가능해집니다.

➡️ (앱) ‘알뜰교통카드’ 에서는 4월 30일까지 전환가능하며, (누리집) 에서는 6월 30일까지 전환가능하니 참고하세요!

📌  전환은 지금부터 가능하니 미리 해두시는 걸 추천드려요. 4월 30일까지 전환을 완료한 이용자는 5월 1일부터 즉시 K패스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전환을 미리 완료하지 않은 이용자는 회원 전환을 완료하기 전까진 K패스 환급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미리미리 해두세요!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전환 바로가기 🖱️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내가 서울권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중 어떤 교통카드를 쓰는 것이 더 경제적으로 이득일까? 고민이 되실 수 있는데요, 쉽게 비교해보겠습니다

총 대중교통 사용금액으로 비교

📌 (일반요금기준)  결과적으로 서울에서 매월 7만7500원보다 대중교통 비용을 더 많이 쓰는 사람에게는 기후동행카드가, 그보다 더 적게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K패스가 유리합니다

월 대중교통카드로 7만7500원을 지불할 경우 K패스 일반 요금 기준 77,500(원) ×  20% = 15,500원을 환급받아 최종 월 사용료는 6만2000원이 되는데, 월 7만75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사용하게 되면 기후동행카드(월 62,000원 무제한 교통카드)보다 K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저렴한 셈입니다

반면 월 7만7500원보다 많은 금액을 쓰는 사람에게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다. 예를 들어보면 월 8만원을 대중교통 비용으로 쓰는 경우 K패스 사용자는 80,000(원) ×  20% = 16,000원을 환급받아 월 6만4000원(일반 기준)을 납부하는 데요,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때보다 2000원 더 내야 하는 거죠

❓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2000원에 서울 시내 지하철, 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이다. 3000원을 더 지불하면 공유자전거 ‘따릉이’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19~34세 청년에게는 7000원 할인이 적용된다. 다만 서울에서 탑승한 후 인천·경기 지역에서 내리면 추가 요금이 붙고, 지하철 신분당선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기후동행카드 더 알아보기

탑승횟수로 비교(K패스 일반할인기준)

탑승횟수(회당 1500원)일반기후동행K패스
1015,00062,00015,000
1522,50062,00018,000
2030,00062,00024,000
3045,00062,00036,000
4060,00062,00048,000
5075,00062,00060,000
5178,00062,00061,200
5582,50062,00066,000
6090,00062,00072,000

➡️  버스기본요금(1500원)으로 탑승횟수를 계산한 결과 51회 이하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K패스가 기후동행보다 유리하네요. 저는 평일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이용하고 친구 만나거나 약속 있을 때 추가로 10회 더 이용해서 보통 30회정도 이용하는 데요, 그럼 K패스가 훨씬 효율적입니다

K패스 신청방법

K패스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카드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의 경우 회원 전환 절차를 통해 별도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니 꼭 신청하시고 대중교통 비용 아끼세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의 경우 전환절차를 꼭 진행하셔야지 K패스 혜택을 받으실 수 있어요. 꼭 전환신청하세요!!

📌월 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회당 1,500원씩 60회 지출기준) 일반 18,000원, 청년 27,000원, 저소득층 48,000원 절감가능합니다. 60회의 반절인 30회 이용하셔도 일반 9,000원, 청년 13,500원, 저소득층 24,000원 절감이니 신청하시고 커피한잔 값 아끼시길 바래요!

전국에 있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자분들은 무조건 신청가능!

K패스 신청 바로가기


저는 보통 평일 출퇴근에만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필요가 없었는데요

이번 5월에 출시될 K패스는 기본 결제금액이 없어서 좋았어요

보통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월 15회 이상은 대중교통 이용하잖아요?

저와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나 기후동행카드 혜택을 받기엔 애매하여 사용하지 않았던 분들이라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만큼 20 ~ 53%까지 현금으로 혜택을 주는 K패스를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Leave a Comment